2025년 공시지가 조회 방법과 재산세 계산법
2025년 공시지가 조회 방법과 재산세 계산법
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다면 매년 부과되는 **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**를 계산하기 위해 공시지가(공시가격) 조회가 필수입니다. 오늘은 2025년 최신 기준으로 공시지가 조회 방법과 재산세 계산법을 단계별로 안내드리겠습니다.
1. 공시지가(공시가격)란?
공시지가는 **토지의 단위면적당 가격**을 뜻하며,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은 공동주택 공시가격으로 산정됩니다.
✔️ 활용처:
- 재산세, 종합부동산세, 건강보험료 산정
- 양도세 비과세 여부 판단
- 국공유지 매입, 개발 부담금 등 각종 세금 기준
2. 2025년 공시지가 조회 방법
① 국토교통부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
국토부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사이트에서 조회 가능합니다.
- 1) 홈페이지 접속 후 ‘공동주택 공시가격’ 또는 ‘개별공시지가’ 선택
- 2) 시군구, 도로명주소, 지번 등으로 검색
- 3) 공시가격과 시세반영비율 확인 가능
장점: 정부 공식 데이터로 신뢰도 높음
단점: 모바일 UI가 다소 불편함
② 각 지자체(시군구청) 홈페이지
각 시군구청 홈페이지에서도 **개별공시지가 조회** 메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
- 지역별 세부 특화 데이터 제공
- 개별 필지단위의 상세 내역 확인 가능
③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테크
한국부동산원 부동산테크 사이트에서는 시세, 공시가격, 시세반영비율을 종합 조회할 수 있어 실거래가 비교에도 유용합니다.
3. 2025년 재산세 계산법
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 부동산 소유자에게 부과됩니다.
① 과세표준 산정
- 아파트: 공시가격 × 공정시장가액비율(60%)
- 토지: 개별공시지가 × 면적 × 공정시장가액비율(70%)
✔️ 2025년 공정시장가액비율: 정부 방침에 따라 2024년 60%에서 동결 예정
② 세율 적용
과세표준 | 재산세율 |
---|---|
6천만 원 이하 | 0.1% |
6천만 ~ 1억5천만 원 | 0.15% |
1억5천만 원 초과 | 0.25% |
✔️ 예시:
아파트 공시가격 4억 원 → 과세표준 = 4억 × 60% = 2억4천만 원
재산세 = 2억4천만 원 × 0.25% = 60만 원
③ 도시지역분, 지방교육세
재산세에는
- 도시지역분: 재산세액의 0.14% 추가
- 지방교육세: 재산세액의 20% 추가
✔️ 총 납부액 계산 예시:
재산세 60만 원 + 도시지역분 8만4천 원 + 지방교육세 12만 원 = 약 80.4만 원
4. 재산세 납부 시기
- 7월: 주택분 재산세 1/2
- 9월: 주택분 재산세 1/2
- 7월: 건물 재산세 전액
- 9월: 토지 재산세 전액
✔️ TIP: 재산세는 500만 원 초과 시 2회 분할 납부가 가능합니다.
5. 재산세 절감 팁
- 공시가격 오류가 있다면 시군구청에 이의신청 (열람 기간 내 가능)
- 1가구 1주택 장기보유(5년 이상) 시 세율 특례 적용 여부 확인
6. 결론
공시지가 조회와 재산세 계산은 부동산 보유 비용과 세금 계획의 기초입니다. 2025년에도 정부 정책과 공시가격 변동을 꾸준히 모니터링해 효율적인 자산 관리와 절세 전략을 세우시길 바랍니다.
앞으로도 2025년 최신 부동산 세금 및 투자 정보를 체계적으로 업데이트하겠습니다.
※ 본 글은 2025년 7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, 세법과 공시가격은 변동될 수 있으니 관할 시군구청 또는 세무사 상담을 권장합니다.
댓글
댓글 쓰기